개편 이후 기준인 위 설계도로 수정하게 되면, 아래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다.
- CloudFront 의 비용 최적화 (이미지 서빙 용량 개선으로 인해)
- 이미지 렌더링 속도 최적화 (낮아진 서빙 용량 및 캐싱으로 인해)
- 작품 커버 이미지 화질 개선 (S3에 저장할 때 리사이징 후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, 원본 그대로를 저장함으로 인해)
- API 서버 리소스 부하 개선 (S3에 이미지 저장하는 주체를 클라이언트로 변경함으로 인해)
해당 결과물을 이루어내기 위해, 해야하는 작업은 간략하게만 뽑아내면 아래와 같다
(기존 이미지 정책 및 하이브리드 앱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해야하는 작업이 많으나, 작업의 큰 줄기만 뽑아내면 아래와 같다)
[작업 우선순위]
- Lambda@edge 코드 작성 (이미지 변환 및 메모리 설정)
- 신규 CF 설정 및 변경 (기존 CF도메인 주소 연결된 곳들을 신규 CF로 변경)
- 해당 기능 관련된 기존/신규 API 작성
'★ 프로젝트 + 트러블 슈팅 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해외 본인인증] CI / DI 개념 정리 (0) | 2025.02.17 |
---|---|
[이미지 렌더링 최적화] node기반 Lambda@Edge 생성 (0) | 2025.01.14 |
[이미지 렌더링 최적화] CloudFront 비용절감 트러블 슈팅 (0) | 2024.12.17 |
헥사고날 아키텍처 구조, 사용이유 및 부가정보 (3) | 2024.11.20 |
[DDD] 도메인, 바운디드 컨텍스트, 애그리거트 개념 정의 (3) | 2024.11.05 |
댓글